스튜어드십 코드

아주기업경영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합니다)는 2022. 1. 1. 기관투자자에 대한 의결권 자문 및 기업들의 ESG 평가와 그 자문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연구소는 기관투자자들의 투자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결권 행사의 자문과 이와 관련된 규정 지침들의 제정을 자문하는 서비스와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관점에서 투자대상기업을 평가하고 보고하는 서비스업무를 독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합니다.
연구소는 스튜어드십 코드의 직접적인 적용대상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소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기관투자자들은 스튜어드십 코드를 적극적으로
이행하게 되므로, 연구소의 업무와 스튜어드십 코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구소는 스튜어드십 코드의 이행을 통하여 자본시장의 일원으로서
시장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확약합니다.

스튜어드십 코드 책임자 및 담당자

구분 성명 직위 전화번호 이메일
책임자 김남은 부본부장 02-3016-7456 neumkim@ajuri.co.kr
담당자 김은영 연구원 02-3016-7457 eyoungkim@ajuri.co.kr

개인정보처리방침

‘목포더좋은요양병원’은 (이하 ‘본원’은) 고객님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본원은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통하여 고객님께서 제공하시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본원은 개인정보취급방침을 개정하는 경우 웹사이트 공지사항(또는 개별공지)을 통하여 공지할 것입니다.

ο 본 방침은 : 2022 년 00 월 00 일 부터 시행됩니다.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본원은 회원가입, 상담, 서비스 신청 등을 위해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ο 수집항목 : 이름 , 로그인ID , 비밀번호 , 자택 전화번호 , 자택 주소 , 휴대전화번호 , 이메일

ο 개인정보 수집방법 : 홈페이지(회원가입,상담게시판,고충처리, 온라인예약 등)

❑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본원은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ο 서비스 제공에 관한 계약 이행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정산 콘텐츠 제공

ο 회원 관리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개인 식별 , 불량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와 비인가 사용 방지 , 가입 의사 확인 , 연령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
불만처리 등 민원처리 , 고지사항 전달

ο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

이벤트 등 광고성 정보 전달 , 접속 빈도 파악 또는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회원가입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아이디
  • 비밀번호
  • 비밀번호 확인
  • 이름
  • 전화번호

뉴스

보도자료

[이데일리] 대륙아주, 개정 상법 세미나…파급효과·대응방안 제시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5-07-24

이규철 대륙아주 대표변호사가 24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동훈타워 12층 대륙아주 대회의실에서 ‘개정 상법의 주요 내용과 기업의 대응 방안’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대륙아주)
 
법무법인 대륙아주와 아주기업경영연구소는 24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동훈타워 12층 대륙아주 대회의실에서 ‘개정 상법의 주요 내용과 기업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가 지난 22일 공포해 즉시 시행에 들어간 제382조의3(이사의 충실의무 등)을 비롯해 바뀐 내용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업 관계자와 언론인 등 약 150명이 직접 세미나장에 참석하거나 줌을 통해 방청했다.

세션1에서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성율 변호사는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임 때도 3%룰을 적용하는 규정에 대해 “이사요건을 강화하고, 내부경영정보 유출방지를 위한 비밀유지 서약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동우 변호사는 “자회사 물적분할 후 상장(쪼개기 상장)의 경우 과거에는 이사 선관주의의무 위반 및 충실의무 위반으로 보기 어려웠으나 이제는 모회사 소수주주의 이익보호를 고려할 때 이사의 충실의무 위반을 이유로 이사에 대한 책임 추궁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 발표자인 김동국 변호사는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 소수주주의 이익이 실질적으로 고려됐는지 여부를 명확히 문서화해야 하고, 법률검토서와 회계법인 보고서, 감정평가서 등 객관자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션2에서는 아주기업경영연구소 위원인 이인무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가 ‘이사회의 역할과 기업가치 제고’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위원은 “개정 상법 상 주주를 장기 투자자로 한정할 경우 기존 상법 상 충실의무와 개정된 상법 상 충실의무는 상충될 여지가 많지 않고, 개정된 상법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이사들이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주주의 개념을 장기 투자자에 한정하는 목소리가 커져야할 것으로 본다”고 조언했다.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상법개정으로 인해 정관 개정이 필요한지, 자사주 활용에 대한 제한이 어느 수준까지 강화될지’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규철 대표변호사는 인사말에서 “상법 개정 과정에서 대륙아주 공공전략그룹은 개정안의 국회 내 입법 과정과 법안의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기업들에 제공했고 자문부문에서는 개정 내용을 면밀히 연구·검토해 이슈리포트를 발간했으며 이사를 상대로 한 소송, 고소 등이 증가할 가능성에 주목해 자문과 송무 부문이 협업해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륙아주는 개정 상법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법률 이슈에 충실히 자문하기 위해 준비를 마쳤다”면서 “개정 상법 환경에서도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경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최고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백주아 기자 juabaek@edaily.co.kr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936406642237800&mediaCodeNo=257&OutLnkChk=Y